전력 품질 문제 중 가장 흔하면서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고조파(Harmonics)에 대해 알아보세요. 현대 산업 환경에서 비선형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고조파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고조파의 개념부터 발생 원인, 문제점, 그리고 다양한 제어 기술까지 전문적인 관점에서 상세히 설명합니다.

목차
- 고조파의 기본 개념과 발생 원인
- 고조파가 전력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 총 고조파 왜곡률(THD)의 이해
- 가변 주파수 드라이브(VFD)와 고조파
- 고조파 제어 기술: 수동 필터와 능동 필터
- 다중 펄스 VFD 시스템
- 위상 변이 변압기를 통한 고조파 제어
- 고조파 관리를 위한 실용적 가이드
고조파의 기본 개념과 발생 원인
고조파란 무엇인가?

고조파는 전력 시스템에서 기본 주파수(한국의 경우 60Hz)의 정수배 주파수를 갖는 전압 또는 전류 성분입니다. 예를 들어, 60Hz 시스템에서 2차 고조파는 120Hz, 3차 고조파는 180Hz가 됩니다. 이러한 고조파 성분들이 기본 주파수 성분과 합쳐지면 전압과 전류 파형이 왜곡되어 다양한 문제를 일으킵니다.
고조파 발생의 주요 원인
고조파는 주로 비선형 부하(non-linear loads)에 의해 발생합니다. 비선형 부하는 전류를 사인파 형태가 아닌, 펄스 형태나 왜곡된 형태로 소비하는 부하를 말합니다. 현대 산업 환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선형 부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가변 주파수 드라이브(VFD): 모터의 속도와 토크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크레인, 펌프, 팬 등에 널리 적용됩니다.
- 정류기(Rectifier):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로, 컴퓨터, 통신 장비, 배터리 충전기 등에 사용됩니다.
-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SMPS): 전자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며, 컴퓨터, TV, 휴대폰 충전기 등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아크 용접기: 용접 과정에서 전류가 불규칙하게 흐르면서 고조파를 발생시킵니다.
고조파가 전력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고조파는 전력 시스템 전반에 걸쳐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장비 과열 및 손상
고조파 전류는 변압기, 케이블, 모터 등의 전기 장비에 추가적인 열을 발생시켜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심각한 경우 장비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변압기의 경우, 고조파로 인한 와전류(eddy current) 손실이 증가하여 과열 문제가 발생합니다.
전력 손실 증가
고조파는 전력 시스템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에너지 손실을 증가시킵니다. 이는 전력 비용 증가로 이어지며, 대규모 산업 시설에서는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통신 장비 간섭 및 계측 오차
고조파는 통신 신호에 잡음을 발생시켜 통신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전압과 전류 측정 장비의 오차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정밀한 제어가 필요한 산업 환경에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공진 현상
특정 고조파 주파수가 전력 시스템의 고유 주파수와 일치하면 공진 현상이 발생하여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비 손상이나 시스템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총 고조파 왜곡률(THD)의 이해
THD의 개념과 중요성
총 고조파 왜곡률(THD, Total Harmonic Distortion)은 전압 또는 전류 파형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의 총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THD는 기본 주파수 성분에 대한 고조파 성분들의 비율(%)로 표현되며,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THD=V22+V32+V42+...+Vn2V1×100%THD = \frac{\sqrt{V_2^2 + V_3^2 + V_4^2 + ... + V_n^2}}{V_1} \times 100\%
여기서 V₁은 기본 주파수 성분의 크기이고, V₂, V₃, ... Vₙ은 각각 2차, 3차, ... n차 고조파 성분의 크기입니다.
THD의 활용
THD는 전력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THD가 높을수록 전력 품질이 나쁘다고 판단하며, 많은 국가 및 기관에서 THD에 대한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예: IEEE 519 표준). 장비 설계 및 선정 시에도 THD를 고려해야 하며, THD가 높은 환경에서는 고조파 내성이 강한 장비를 사용하거나 고조파 필터를 설치해야 합니다.
가변 주파수 드라이브(VFD)와 고조파
VFD의 개념과 작동 원리
가변 주파수 드라이브(VFD, Variable Frequency Drive)는 전동기(모터)의 속도와 토크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력의 주파수와 전압을 가변하는 장치입니다. 인버터(Inverter)라고도 불리는 VFD는 다음과 같은 세 단계로 작동합니다:
- 정류(Rectification): 입력되는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합니다.
- DC 링크(DC Link): 변환된 DC 전력을 평활화(smoothing)하고 저장합니다.
- 인버팅(Inversion): DC 전력을 다시 AC 전력으로 변환하되, 이때 주파수와 전압을 조절하여 모터에 공급합니다.
VFD의 산업적 활용
VFD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 크레인: 정밀한 하중 제어, 부드러운 가감속, 에너지 절감
- 펌프 및 팬: 유량 및 풍량 조절, 에너지 절감
- 컨베이어: 속도 조절, 정밀한 위치 제어
-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부드러운 운행, 에너지 절감
- HVAC 시스템: 냉난방 효율 향상, 에너지 절감
VFD와 고조파 발생
VFD는 정류 과정에서 비선형 특성으로 인해 고조파를 발생시킵니다. 특히 6펄스 VFD는 5차, 7차 고조파를 많이 발생시키는데, 이는 전력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VFD 설치 시 고조파 저감 대책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고조파 제어 기술: 수동 필터와 능동 필터
수동 필터(Passive Filter)
수동 필터는 인덕터(L), 커패시터(C), 저항(R)과 같은 수동 소자로 구성되어 특정 주파수의 고조파를 제거하거나 줄이는 필터입니다.
작동 원리: 특정 고조파 주파수에 공진하도록 설계된 LC 회로를 사용하여 해당 주파수의 고조파 전류를 접지(ground)로 우회시키거나, 고조파 전류의 흐름을 방해합니다.
장점:
- 비교적 저렴하고 간단합니다.
-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단점:
- 특정 주파수에만 효과적입니다.
- 시스템 조건 변화(부하 변동, 주파수 변동 등)에 따라 필터링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시스템과 공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능동 필터(Active Filter)
능동 필터는 전력 전자 소자(예: IGBT)를 사용하여 고조파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그와 반대 위상의 전류를 주입하여 고조파를 상쇄시키는 필터입니다.
작동 원리:
- 고조파 감지: 전류 센서를 사용하여 부하 전류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을 감지합니다.
- 보상 전류 생성: 감지된 고조파와 크기는 같고 위상이 반대인 보상 전류를 생성합니다.
- 보상 전류 주입: 생성된 보상 전류를 전력 시스템에 주입하여 고조파를 상쇄시킵니다.
장점:
- 다양한 고조파 주파수에 효과적입니다.
- 시스템 조건 변화에 자동으로 적응합니다.
- 높은 고조파 제거 성능을 제공합니다.
단점:
- 수동 필터보다 비싸고 복잡합니다.
- 제어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 전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중 펄스 VFD 시스템
12펄스, 18펄스 VFD의 개념
다중 펄스 VFD는 일반적인 6펄스 VFD보다 고조파 발생을 줄이기 위해 설계된 VFD입니다. 정류기(rectifier) 부분의 구조를 변경하여 고조파를 저감합니다.
- 6펄스 VFD: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VFD로, 6개의 다이오드(또는 사이리스터)를 사용하여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합니다. 5차, 7차 고조파를 많이 발생시킵니다.
- 12펄스 VFD: 12개의 다이오드(또는 사이리스터)를 사용하여 11차, 13차 고조파를 주로 발생시킵니다. 6펄스 VFD보다 고조파 발생량이 적습니다.
- 18펄스 VFD: 18개의 다이오드(또는 사이리스터)를 사용하여 17차, 19차 고조파를 주로 발생시킵니다. 12펄스 VFD보다 고조파 발생량이 더 적습니다.
다중 펄스 VFD의 활용
다중 펄스 VFD는 고조파 발생을 줄여야 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 대용량 모터를 구동하는 경우
- 엄격한 고조파 규제를 준수해야 하는 경우
- 전력 품질이 중요한 민감한 환경(예: 병원, 데이터 센터)
위상 변이 변압기를 통한 고조파 제어
위상 변이 변압기의 개념과 작동 원리
위상 변이 변압기(Phase Shifting Transformer)는 여러 개의 2차 권선을 가지고 있으며, 각 2차 권선 간에 의도된 위상차(Phase Shift)를 가지도록 설계된 변압기입니다.
작동 원리:
- 6 Pulse VFD가 설치된 환경에서 사용되며, 하나의 위상 변이 변압기에는 2개의 2차 권선이 존재합니다.
- 각 2차 권선은 30도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설계됩니다.
- 이러한 위상차는 5차, 7차와 같은 특정 차수의 고조파를 서로 상쇄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킵니다.
- 결과적으로 변압기 1차측(입력측)에 나타나는 고조파는 저감됩니다.
위상 변이 변압기의 활용
위상 변이 변압기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활용됩니다:
- 6 Pulse VFD 사용 환경에서 고조파 저감이 필요한 경우
- 수동 필터 또는 능동 필터를 설치하기 어려운 환경
- 여러 대의 VFD가 설치된 환경에서, 각 VFD에 위상 변이 변압기를 설치하여 전체적인 고조파를 줄일 수 있습니다.
고조파 관리를 위한 실용적 가이드
고조파 문제 진단 방법
고조파 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 전력 품질 분석기 사용: 전력 시스템의 THD를 측정하고, 각 차수별 고조파 성분을 분석합니다.
- 열화상 카메라 활용: 변압기, 케이블, 모터 등의 과열 여부를 확인합니다.
- 장비 성능 모니터링: 장비의 비정상적인 동작, 오작동, 트립 등을 기록하고 분석합니다.
고조파 저감을 위한 단계별 접근법
- 비선형 부하 식별: 시스템 내의 주요 고조파 발생원을 식별합니다.
- 고조파 영향 평가: 고조파가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합니다.
- 적절한 저감 기술 선택: 시스템 특성과 예산을 고려하여 적절한 고조파 저감 기술을 선택합니다.
- 설치 및 시운전: 선택한 저감 기술을 설치하고 시운전합니다.
- 지속적인 모니터링: 설치 후에도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모니터링하여 고조파 저감 효과를 확인합니다